집중투자 - 앨런 베넬로, 마이클 밴 비머, 토비아스 칼라일
< 서평 >
: 집중투자는 집중투자를 할 것인가 분산투자를 할 것인가에 대한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집중투자에 대한 투자가들의 다양한 인터뷰나 이야기를 분석하거나 인용해서 논거를 제시하고 있다. 대게 집중투자를 하게 되면 가치투자의 관점이 많다. 좋은 소수의 기업을 싸게 사서 오래동안 가지고 있어라라는 것이다.
좋은 소수의 기업을 찾는 것이 관건이다. 뉴스를 보면 앞으로 좋아보이는 기업이 너무 많다. 마트나 백화점에 쇼핑을 갔을 때처럼 이것 저것 사고 싶어진다. 그중에 좋은 기업을 고르는 것도 어렵다. 그래서 공부가 필요하다. 가치보다 시장의 상황 때문에 낮게 거래될 때 소위 안전마진이 커졌을 때 사서 충분한 상승이 올 때까지 기다린다. 말은 쉽지만 종목 고르기와 스스로의 마음을 관리하기가 참 어렵다. 그 어려운 것을 해내면 드디어 다른 사람보다 수익을 많이 내는 것 같다.
이 책은 루 심프슨, 존 메이너드 케인스, 켈리, 섀넌, 소프, 워런 버핏, 찰리 멍거, 크리스티안 시엠, 그리넬 대학, 글렌 그린버그 라는 투자가들에 대한 이야기가 들어있다. 참고할 내용은 맞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리 재밌지는 않았다. 섀넌의 도깨비에 대해 실제 자료로 검증을 해보니 횡보할 때는 존버 대비 좋지만 시장이 상승할 때는 수익이 도리어 적었고 대신 하락할 때 손실도 적었다. 아주 장기간을 볼 때는 결국 우상향한다면 존버가 더욱 나은 결과를 보였다. 시장에 정답은 없다. 이런 저런 방법을 시도해 보다 나와 잘 맞는 적당한 수익을 주는 방법을 찾을 수 있기를 희망 고문해 볼 뿐인 것같다.
< 내용 중 >
- 애널리스트 보고서나 증권사 사람들의 조언은 참고하지 않는다. "월스트리트 사람들은 학력이 높고 똑똑해서 매우 논리정연하고 설득력이 강합니다. 그래서 멀리하는 편이 상책이지요."
- 1929년 11월 13일, 시장이 고점에서 47.8% 하락하자 마침내 바닥에 도달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사실은 바닥이 아니었다. 이듬해 약간 회복하는 듯했으나, 연말 몇 달 동안 다시 힘을 잃었다. 1931년은 고전 대비 -55.4%로 시작하여 -79.4%로 끝났다. 고점을 기록하고 2년 10개월 지나 1932년 7월 8일 마침내 바닥에 도달했을 때 시장은 무려 89.2% 하락한 상태였다.
- 시간이 흐를수록 나는 자신이 잘 알고 경영진을 철두철미하게 믿을 수 있는 회사에 거액을 집어넣는 것이 올바른 투자 방법이라고 더욱 확신하게 된다네. 아는 것도 없고 특별히 믿을 이유도 없는 기업에 널리 분산 투자하고서 위험이 감소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야. 사람의 지식과 경험은 분명히 한계가 있어서, 나는 완전히 믿음이 가는 기업을 한 시점에 서너 개 이상 본 적이 없어. - 케인스
- 우리 계좌보다 시장의 광기가 훨씬 오래간다. - 케인스, A. 게리 실링
- 저는 정보가 바뀌면 결론도 바꿉니다. 선생님은 어떻게 하십니까? - 대공황 기간에 통화 정책에 대한 태도를 바꿨다는 비판에 케인스가 보인 반응
- 케인스는 마침내 장기 투자자가 되어 주식을 대게 5년 이상 보유했다. <월 스트리트 저널>에 "현명한 투자자"라는 칼럼을 연재하는 제이슨 츠바이크에 의하면, 현재 미국 주식형 펀드가 주식을 보유하는 기간은 평균 15개월에 불과하다.
- 케인스의 투자철학
1. 장기적으로 전망한 내재가치보다 싸고, 그 시점의 대체투자 종목보다도 싼 종목을 소수만 신중하게 선택한다.
2. 이런 종목들을 대량으로 사서, 투자 판단에서 명백한 실수가 드러나지 않는 한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장기간 끈질기게 보유한다.
3. 투자 포지션의 균형을 유지한다. 즉, 소수 종목을 대량 보유하더라도 가능하면 위험이 상쇄되도록 위험을 다각화한다.
- '새넌의 도깨비' : 현금과 주식을 절반씩 보유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정기적으로 리밸런싱하여 시장의 랜덤워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정오에 현금 5,000달러와 주식 5,000달러로 1만 달러짜리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이튼날 정오가 되면 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한다. 만일 주가가 반토막이 나서 포트폴리오 평가액이 7,500달러(현금 5,000달러, 주식 2,500달러)가 되었다면, 현금 1,250달러를 주식에 투자하여 현금과 주식의 평가액이 똑같이 3,750달러로 맞춘다. 이튼날 정오에 주가가 두 배로 뛰어 포트폴리오 평가액이 1만 1,250달러(현금 3,750달러, 주식 7,500달러)가 된다면, 주가가 이틀 전의 위치로 돌아오는 동안 1,250달러를 번 셈이 된다. ~ 80일 후 포트폴리오의 평가액은 110만 달러를 넘어간다. 이 기간 주식은 제자리였으므로, 주식을 계속 보유한 사람들은 한 푼도 벌지 못했다.
- 1989년 버핏 : "적당한 기업을 싼값에 사는 것보다, 훌륭한 기업을 적절한 가격에 사는 편이 훨씬 낫습니다."
~ 2013년 멍거 : 경제성이 탁월한 기업이더라도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다면 바람직한 종목이 아닙니다. 그러나 경제성이 빈약한 기업이더라도 가격이 매우 싸다면 바람직한 종목입니다.
~ 1972년 버핏과 멍거는 주가가 순자산가치보다 낮은 기업을 계속 사들였다.
- 러디어드 키플링의 시 <만일> :
만일 모두가 흥분하여 너를 비난할 때에도 / 네가 냉정을 유지할 수 있다면,
만일 모두가 너를 의심할 때에도 너는 자신을 믿으며 / 의심하는 남들을 이해할 수 있다면,
만일 네가 기다리면서도 지치지 않을 수 있다면,
~
만일 네가 딴 돈 전부를 / 게임 한판에 걸 수 있다면,
~
세상 전부가 너의 것이며, / 이제 자네는 대장부라네!
- 고든 : 저는 골드만삭스가 매수를 추천하면 팔고, 매도 의견을 내면 사는 전략을 즐겨 썼습니다. 골드만삭스는 주식을 사고 싶으면 주가를 떨어뜨릴 목적으로 매도 의견을 냈고, 팔고 싶을 때는 매수 의견을 냈습니다. 이를 역이용하는 추자 방식은 잘 맞아떨어졌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이들에게서 서비스를 받기 위해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 츠바이크는 로젠필드의 투자 원칙을 다음 세 가지로 요약했다.
잘할 수 있는 종목 몇 개에만 집중하라. 로젠필드는 좋아 보이는 이것저것에 나눠 투자하는 대신 훌륭해 보이는 몇 개에 큰돈을 투자함으로써 10억 달러에 이르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 참고 기다려라. (단지 몇 년이 아니라 10년 넘게 참는) 인내는 투자자가 가지는 유일하고도 가장 강력한 무기다. ~ 돈 자체를 목적으로 삼지 말라. 로젠필드는 돈은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목적을 위한 수단이라는 사실을 모범적으로 보여주었다.
- 남들은 대충 알고 넘어가도 뭐라 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저는 팀원들이 완벽하게 알 때까지 물고 늘어집니다. 즉, 숫자 하나한까지 꼼꼼히 따집니다. 그래서 제가 던진 질문에 "제 생각에는..., 제가 느끼기에는..., 제 추측으로는..."과 같이 대답하는 행위는 결코 용납히지 않습니다. 추측에 근거해 많은 돈은 투자할 수는 없으니까요. 완벽하게 이해하고 가장 최근 수치를 숙지하게 합니다. 한참 지난 수치는 써서는 안 됩니다.
- 포트폴리오에서 보유한 기업에 대해 샅샅이 안다는 것은 결국 쓸데없는 소음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바로 이 점이 집중투자의 매력입니다. 모두 다 살펴볼 수는 있지만 이 모든 것에 대해 의견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진정으로 "우와, 정말 훌륭한 기회야"라고 말하기 전까지는 결론을 내리지 않아도 됩니다. 확실치 않은 것에 대해 추측할 필요가 없습니다.
- 좋은 소식은, 지능이 높지 않아도 훌륭한 투자자가 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만일 지능지수가 160이라면, 그중 30은 투자에 필요 없으므로 팔아버리세요. 실제로 필요한 것은 올바른 기질입니다. 투자자는 남의 견해나 관점에서 벗어날 수 있어야 합니다.
- 엘튼과 그루버는 1977년 논문에서, 보유 종목이 20~30개이면 분산투자의 이점을 대부분 누리게 된다고 주장했다. 30개 넘게 보유해서 추가되는 이익은 거의 없다. 거래비용 등 각종 비용이 위험 감소 편익보다 크기 때문이다.
- 케인스도 생각이 비슷했다. 위험 측면에서는, 확신하지 못하는 여러 분야의 주식을 보유하는 것보다, 확신하는 종목 소수를 대량으로 보유하는 편이 낫다.
- 세상만사를 다 아는 사람은 세상에 없습니다. 그러나 열심히 노력하면 간혹 가격이 왜곡되어 승산이 높은 내기 기회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런 기회를 발견하면 현명한 사람은 과감하게 베팅합니다. 이들은 확률이 유라할 때 크게 베팅하고, 평소에는 베팅하지 않습니다. 원리는 아주 단순합니다.
'투자 관련 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정인 주식투자의 정석 - 차영주 (0) | 2018.07.27 |
---|---|
주식 시세의 비밀 - 정재호 (0) | 2018.07.18 |
가계부처럼 쉽게 읽는 5분 재무제표 - 박시대 (0) | 2018.07.13 |
일 년 삼십 분 투자로 주식 부자 되기 - 김정래 (0) | 2018.07.13 |
개미대학 세력의 매집원가 구하기 - 전석 (0) | 2018.07.03 |